문제에서 park의 배열이 이런식으로 나타나져있어서 직접 공책에 그림을 그려서 생각해 보았다. 얼추 문제의 그림과 유사한것 같았다. 문제에서 이런 제약사항이 있는데 나는 이 제한 사항을 park를 행과 열을 가진 직사각형으로 보고 만약 공원을 벗어나는지의 유무는 park의 행이나 열을 벗어날때로 생각했고, 장애물은 park의 요소중 'X'를 의미하므로 위 2가지중 하나만 만나게되더라도 명령을 중단하고 그다음 명령을 수행하면 되었다. 그래서 가장 먼저 S(시작점)을 찾고 명령을 수행하도록 코드를 아래와 같이 작성했다. class Solution { fun solution(park: Array, routes: Array): IntArray { val answer = IntArray(2) // 'S' 위치 찾..